요즘 ChatGPT 쓰면서 하루를 시작하는 사람 많죠?
질문만 던지면 글도 써주고, 그림도 만들어주고, 심지어 코딩까지 척척 해주는 AI 비서.
그런데 이 대단한 서비스를 만든 OpenAI,
처음엔 일론 머스크가 직접 만든 회사라는 거… 알고 계셨나요?
더 놀라운 건,
지금 그 일론 머스크가 자신이 만든 회사와 대표 샘 알트만을 상대로 고소했다는 사실.
도대체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요?
OpenAI의 시작
2015년. 실리콘밸리엔 아직 AI라는 개념이 낯설던 시절.
일론 머스크, 샘 알트만, 그리고 몇몇 천재 개발자들이 모여 선언합니다.
“AI는 인류 전체를 위한 것이어야 한다.”
“소수 대기업의 독점이 아닌, 모두에게 열린 기술로 가야 한다.”
이 말이 바로 OpenAI의 창립 철학이었죠.
그래서 이들은 비영리 연구소로 시작했어요.
돈 벌려고 만든 게 아니라, 안전하고 공정한 AI 개발을 위한 공공 기관처럼 출발한 거죠.
초기에는 머스크 본인, 피터 틸, 샘 알트만 등 실리콘밸리의 거물들이
10억 달러 규모의 후원 약속을 하고, 뛰어난 인재들도 대거 합류합니다.
현실의 벽: AI는 ‘돈’이 너무 많이 든다
AI는 생각보다 엄청난 비용이 드는 기술이었다.
데이터, 컴퓨팅 파워(GPU), 서버 비용이 말 그대로 천문학적으로 들었기 때문이다.
결국 2019년, OpenAI는 '영리법인(OpenAI LP)'을 따로 설립하게 된다.
단, 여전히 ‘공공성’을 지키기 위해
지분 투자 대신 수익 우선권 구조를 택했죠.
(= 투자자가 지분을 갖지는 않지만, 수익 중 일정 비율을 먼저 배분받는 구조)
이 때부터 Microsoft가 본격적으로 등장합니다.
Microsoft와의 동맹… 그리고 긴장
Microsoft는 OpenAI에 2019년 10억 달러,
2023년엔 추가로 100억 달러 이상,
총 130억 달러를 투자하며 최대 파트너로 자리 잡습니다.
그 대가로 OpenAI는
- Azure 클라우드 인프라 독점 사용
- GPT 모델을 MS 서비스에 우선 제공 (예: Copilot, Bing, Office365 등)
이런 식으로 딥한 협력관계를 맺습니다.
OpenAI는 이 자금으로 GPT-3, GPT-4, DALL·E 등을 개발하며
AI 시장의 중심으로 떠오르기 시작했죠.
그리고 일론 머스크의 이탈과 반격
2018년, 머스크는 OpenAI 이사회에서 물러납니다.
그의 주장은 이랬죠:
“OpenAI는 Tesla의 AI 인재와 충돌되고 있고,
영리화되면 철학이 무너질 수도 있다.”
실제로 OpenAI는 이후
- Microsoft와 더 가까워졌고,
- 영리성을 높이기 시작했고,
- 기술은 공개에서 비공개로 점점 바뀌었죠.
결국 2024년, 머스크는 샘 알트만과 OpenAI를 고소합니다.
이유는?
“OpenAI는 ‘모두를 위한 AI’를 만든다고 해놓고,
지금은 Microsoft의 돈을 벌어주는 AI 기업이 되어버렸다.”
샘 알트만의 반격
샘 알트만은 언론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했어요:
“일론은 행복한 사람은 아니에요.
자기 뜻대로 되지 않으면 다 무너뜨리려 하죠.”
그리고 실제로 OpenAI는
- 2025년 SoftBank 주도로 400억 달러 규모의 투자를 유치했고,
- 기업가치는 무려 3,000억 달러로 평가받고 있어요.
일론 머스크도 가만히 있지 않아요.
그의 새로운 AI 회사 xAI는
2023년, 소셜 플랫폼 "X(구 트위터)"를 330억 달러에 인수하며 Grok3를 출시하고
OpenAI와의 전면 경쟁에 나섭니다.
지금 OpenAI는 누구의 회사인가?
놀랍게도 OpenAI는 여전히
- 비영리 재단이 상위 통제권을 갖고 있고
- 외부 투자자는 지분이 아니라 수익 우선권만 가져가는 구조입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 Microsoft가 기술/자금/사업 파트너로 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고
- 일론 머스크는 이 철학의 배신을 문제 삼고 있는 중입니다.
이런 복잡한 구조가 AI 산업에서의 긴장감을 만들고 있는 거죠.
우리는 매일 ChatGPT를 쓰며 놀라고 즐거워하지만,
그 뒤에는 이상과 현실, 철학과 자본의 격돌이 있습니다.
그리고 지금도 AI는 기술이 아닌 권력과 철학의 게임판 위에 놓여 있죠.
앞으로 이 거대한 AI 전쟁, 일론 머스크와 샘 알트만 중 누가 더 오래 살아남을지
지켜보는 것도 흥미로운 관전 포인트입니다. ^^
'AI & Tech > Chat GPT(챗GPT) 활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브리st 지겹다면 ‘피규어 감성’ 각이다 – 왓츠인마이백”, Bing Image Creator로 미니어처 세트 만들기 (1) | 2025.04.08 |
---|---|
지브리 때문에 야근하는 챗GPT의 근황(빡친 챗GPT의 외침) (0) | 2025.04.08 |
AI로 가족사진이 살아난다?! (1편)– 클링 AI로 정적인 사진을 애니메이션 영상으로 바꾸는 방법 (0) | 2025.04.02 |
“사진 하나로 지브리 애니 주인공 된다?! 요즘 난리 난 AI 변환법 총정리” (+움직이는 영상까지 만드는 방법) (0) | 2025.04.02 |
"이게 진짜 무료라고? Grok3 제대로 써보는 법, 이것만 알면 끝!" (0) | 2025.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