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I & Tech/AI 뉴스 & 트렌드

"엔비디아 칩 쓸어 담은 사우디…삼성·하이닉스는 중동판 AI 붐에 올라탈까?"

by EchoLogic 2025. 5. 20.
중동이 AI 칩 시장의 ‘핫플’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한때 ‘석유 부국’으로만 불리던 중동이, 이젠 세계 AI 반도체 시장의 게임체인저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그 중심에는 사우디아라비아와 엔비디아의 전격적인 ‘AI 칩 빅딜’이 있습니다. 단순한 수입 계약이 아닙니다. 이번 거래는 곧 사우디가 AI 패권 경쟁의 본무대에 뛰어들겠다는 ‘선전포고’에 가깝습니다.

그리고 이 새로운 판에서 주목해야 할 두 기업, 바로 삼성전자SK하이닉스입니다.

사우디, 이제 석유 대신 '데이터'를 캔다

사우디는 ‘비전 2030’을 통해 탈(脫)석유 경제를 선언했습니다. 에너지 중심에서 기술 중심으로 국가 체질을 바꾸겠다는 야심찬 로드맵입니다. 그 전략의 핵심은 AI 인프라와 데이터센터, 그리고 이를 뒷받침할 ‘반도체’입니다.

이를 위해 사우디 국부펀드(PIF)는 엔비디아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대규모 AI 칩 확보에 나섰고, 이를 토대로 자체 AI 연구개발, 데이터센터, 슈퍼컴퓨터까지 일사불란하게 구축해가고 있습니다.

왜 하필 엔비디아일까요?
그 이유는 간단합니다. AI 연산의 핵심은 GPU, 그리고 GPU의 핵심은 HBM(고대역폭 메모리). 바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전 세계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영역입니다.

삼성·하이닉스, 중동발 ‘제2의 AI 붐’에 올라탈 수 있을까?

이번 사우디발 AI 칩 빅딜은 단순히 엔비디아만의 호재가 아닙니다.
사우디가 AI 인프라 확장에 나서면, GPU뿐 아니라 HBM·D램·SSD 등 메모리 수요도 폭발적으로 증가할 수밖에 없습니다. 이는 곧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에게 새로운 ‘성장 파이프라인’을 의미합니다.

또한, 사우디가 단순 소비국을 넘어 자체적인 AI 연구허브를 구축하고, 데이터센터까지 대대적으로 투자한다면, 삼성과 하이닉스의 현지 진출 가능성도 현실화될 수 있습니다. 미국과 중국에 집중됐던 수요처가 다변화되면, 지정학적 리스크 분산 측면에서도 의미 있는 변화입니다.

그러나, 리스크는 없다 말할 수 없다

중동은 결코 순진한 수요자가 아닙니다.
장기적으로는 자체 반도체 개발 역량 확보를 추진할 가능성도 큽니다. 기술이전 요구, 현지 생산 압박, 그리고 기술 유출 리스크는 분명 존재합니다. 단기적으론 호재지만, 중장기적으론 신흥 경쟁자가 될 수도 있다는 이야기죠.

판이 바뀌고 있다… 기술패권 시대, 에너지 강국의 야망

사우디의 행보는 단순한 산업 전환이 아닙니다.
에너지로 세계를 쥐었던 그들이 이제는 기술 패권까지 손에 넣으려는 이중 전략을 가동하고 있습니다. 이 흐름 속에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해야 할 일은 단순한 부품 공급자를 넘어, 전략적 파트너로 진화하는 것입니다.

기획 단계부터 참여하고, 기술 방향성을 함께 설계하며, 공급망의 핵심에 자리 잡는 것.
그게 가능하다면, 중동발 기술혁신의 주도권을 일부라도 쥘 수 있습니다.

앞으로 10년.
누가 이 AI 판에서 먼저 중동의 손을 잡느냐에 따라, 반도체 시장의 권력 지형도 크게 바뀔 수 있습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