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I & Tech/AI 뉴스 & 트렌드

“삼성도 밀렸다!”…1분기 7조 ‘폭풍 흑자’ SK하이닉스, HBM으로 반도체 천장 뚫었다!

by EchoLogic 2025. 4. 25.
“HBM 하나로 반도체 왕좌를 뒤흔들다?”

한때 ‘메모리는 삼성’이라는 인식이 절대적이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2025년 봄, 판도가 뒤집혔습니다.
SK하이닉스가 1분기 영업이익 7조4천억원을 기록하며, 두 분기 연속 삼성전자를 뛰어넘는 충격파를 던졌습니다.

이젠 단순히 ‘기세’가 아닌, 진짜 실력으로 글로벌 반도체 주도권을 거머쥔 모습입니다.

그 중심엔 바로 AI 반도체의 핵심, HBM (High Bandwidth Memory, 고대역폭 메모리)이 있죠.

HBM이 뭐길래?…반도체 기술의 '르네상스'

HBM은 기존 메모리보다 데이터 처리 속도는 빠르고 전력 소비는 낮은, AI 서버의 핵심 부품입니다.
쉽게 말해, 챗GPT 같은 거대한 AI 모델이 뇌를 10배 더 빠르게 쓸 수 있게 해주는 메모리가 바로 HBM입니다.

특히 SK하이닉스는 세계 최초로 12단 HBM3E를 양산해 기술 초격차를 벌렸고, 이는 AI 서버 수요 급증과 맞물리며 실적에 불을 붙였습니다.

자료제공: SK하이닉스

7조 돌파 실적의 비밀

  • 영업이익 7.4조 원 (YoY +158%)
  • 매출 17.6조 원 (YoY +42%)
  • 순이익 8조 원 (YoY +323%)
  • 영업이익률 42% (TSMC 수준)

이 수치는 단순한 '회복'이 아닌, 구조적 체질 개선의 결과입니다.
이제는 HBM과 DDR5 같은 고부가 제품 위주로 수익을 내는 방식으로 사업 모델이 진화한 것이죠.

“관세? 괜찮습니다” 트럼프발 리스크, 어떻게 넘길까?

2분기부터 트럼프 정부의 대중국 반도체 관세 정책이 본격화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하지만 SK하이닉스는 크게 흔들리지 않을 거라 확신합니다.

왜냐고요?

  1. HBM은 고객사와 1년 전 공급계약 → 관세 영향 미미
  2. AI 서버는 최종 소비자가 아닌 기업 대상 → 가격 저항 적음
  3. 소비자는 관세 전에 구매 서두를 가능성도↑ → 오히려 수요 유발

이처럼, 단기적 혼란보단 AI 수요 장기 견조에 무게를 두고 있습니다.

앞으로는? HBM4 시대의 개막

  • 2026년까지 연 50% 수요 증가 예상
  • HBM4 출시로 대역폭 및 성능 대폭 향상
  • 용인 클러스터·청주 M15X 투자 가속화

SK하이닉스는 HBM4로 또 한 번 게임 체인저가 될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이 모든 투자는 ‘수익성 중심’으로 전략적 선택만 한다는 것도 눈여겨볼 부분입니다.

마무리 인사이트: “AI는 무조건 온다, 메모리는 하이닉스가 깐다”

HBM을 필두로 한 AI 반도체 전쟁은 아직 초입에 불과합니다.
하지만 누가 먼저 무기를 갖췄는지는 이미 판가름 났습니다.

  • 하이닉스는 기술, 실적, 전략에서 모두 1등 레이스 중~!
  • 삼성전자는 수율 개선 중, 아직 격차 좁히기 어려움;;
  • 엔비디아·TSMC와 나란히 세계 기술 표준 주도!
“삼성이 지고 있는 게 아닙니다. 하이닉스가 너무 빨리 치고 나갔을 뿐이죠.”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