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텍사스, 테일러라는 조용한 도시에서 지금 전 세계 반도체 시장을 뒤흔들 ‘조용한 전쟁’이 시작되고 있다.
삼성전자가 무려 370억 달러(한화 약 51조 원)라는 천문학적 금액을 테일러 팹(Taylor Fab)에 쏟아붓기로 결정한 것이다. 그 대상은 단 하나, 세계 1위 파운드리 업체 TSMC(대만의 반도체 제왕)다.
마치 “이번엔 제대로 붙어보자!”는 선언처럼, 삼성전자의 이 투자는 단순한 공장 짓기가 아니다. 기술력, 고객사, 인재 유치, 그리고 미국이라는 전략적 무대에서의 패권 싸움까지… 모든 것을 걸고 던진 반도체 업계의 ‘올인 베팅’이다.
1. 삼성의 미국 투자: 그 규모가 심상치 않다
삼성전자는 텍사스 테일러에 짓고 있는 반도체 생산시설의 투자 규모를 최대 370억 달러까지 확대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당초 계획했던 170억 달러보다 두 배 이상 늘어난 수치로, 미국 내 역대 최대 외국인 투자라는 타이틀을 거머쥐었다.
이번 프로젝트에는 차세대 2nm 이하 첨단 공정, 고성능 연산 반도체, 그리고 AI 칩 제조라인이 포함된다. 특히 엔비디아, AMD, 구글 등 미국 주요 AI 기업들의 수요를 겨냥한 맞춤형 파운드리 전략이 핵심이다.
2. 테일러 팹이 갖는 전략적 의미
TSMC는 미국 애리조나에 공장을 지으면서 미국 시장 내 입지를 넓히고 있다. 삼성은 이에 맞서 텍사스에 '첨단 생산거점'을 만들어 미국 내 파운드리 고객 확보에 나섰다.
- 미국 정부 보조금: 삼성은 미국 반도체법(CHIPS Act)에 따라 약 64억 달러의 보조금과 세금 혜택을 받게 된다.
- 현지 생산력 강화: '메이드 인 USA' 반도체를 요구하는 미국 내 기업과 정부 기관에 유리한 포지션을 선점할 수 있다.
삼성의 전략은 단순히 TSMC 따라잡기가 아니라, AI·클라우드 시대에 최적화된 반도체를 미국 땅에서 직접 공급하는 것이다.
3. 기술 경쟁에서의 한 수 앞선 포석
삼성은 이미 Gate-All-Around(GAA) 공정 등 차세대 기술을 확보하고 있다. 테일러 팹에는 이 기술이 적용된 최신 반도체 생산라인이 들어설 예정이다. GAA는 전력 효율과 집적도를 극대화하는 기술로, 향후 AI, 자율주행, 슈퍼컴퓨팅 등 핵심 산업에 필수적인 요소다.
게다가 삼성은 고객 맞춤형 제조 플랫폼을 확대하며, 기존의 일률적 수탁 생산에서 벗어나 고객 중심의 유연한 생산 방식으로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4. 미국 내 인재 전쟁에도 불붙다
삼성은 이번 테일러 팹 확장과 함께, 미국 현지 인재 채용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고액 연봉을 내걸고 파운드리 인재를 유치하는 등, 미국 내 기술력을 빠르게 확보하겠다는 움직임이다.
- 파운드리 영업 및 고객 품질관리 부문에서 최대 연봉 5억 원 이상을 제시
- TSMC 출신 고위 임원을 영입하며 현지 네트워크와 신뢰도 확보
이처럼 삼성은 생산뿐만 아니라, 인재 확보에서도 '현지화 전략'을 강화하고 있다.
5. 삼성 vs TSMC: 미국 무대의 최종전
현재 파운드리 시장 점유율은 TSMC가 60% 이상으로 압도적이다. 삼성은 2024년 1분기 기준 13% 수준이지만, AI 수요 급증, 미국 내 생산능력 확충, 기술 선도 전략 등을 통해 격차를 줄이고 있다.
- TSMC는 2025년까지 미국 내 양산이 지연되고 있는 상황
- 반면 삼성은 2026년~2027년 상반기 내 테일러 팹 가동을 목표로 진행 중
미국 고객 확보가 이 경쟁의 승패를 좌우할 중요한 변수로 떠오르고 있으며, 삼성은 이를 위해 전방위 전략을 구사 중이다.
370억 달러는 단순한 숫자가 아니다
삼성전자의 테일러 팹 투자는 단순한 반도체 공장 확장이 아니다. 이는 미국 내 기술 패권 확보, 글로벌 고객 유치, AI 반도체 중심의 미래 전략이 모두 포함된 ‘삼성판 반도체 독립 선언’이다.
TSMC를 따라잡는다는 목표는 이제 더 이상 꿈만은 아니다. 시장은 삼성의 과감한 베팅이 어떤 결과로 이어질지 주목하고 있다.
'AI & Tech > AI 뉴스 & 트렌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HBM 꼴찌’의 반란… 마이크론, 엔비디아 손잡고 삼성·SK 흔드나? (0) | 2025.06.29 |
---|---|
“자녀 106명에 23조 상속?”…텔레그램 CEO 파벨 두로프의 ‘역대급 유산 계획’ (1) | 2025.06.24 |
"19조 베팅, 이유 있었다", 애플이 퍼플렉시티를 탐내는 3가지 이유 (0) | 2025.06.24 |
“연봉 5억? 삼성, 실리콘밸리에서 총성 없는 인재 전쟁 시작했다” (0) | 2025.06.24 |
'구글 개발자 연봉 실화냐?' — 직급별 연봉, 보너스, 스톡옵션까지 완전 정리 (2025년 기준) (1) | 2025.06.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