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반도체 업계를 뒤흔든 소식 하나가 있다.
삼성전자가 차세대 2나노미터(nm) 반도체 공정에서 수율 40%를 돌파했다는 것이다.
겉보기엔 단순한 숫자처럼 느껴질 수 있지만,
이 수율 개선은 삼성전자의 향후 반도체 전략은 물론,
TSMC와의 글로벌 파운드리 경쟁 구도에까지 영향을 줄 수 있는 중요한 시그널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2nm 공정이 중요한 이유
‘2나노’는 반도체 회로에서 트랜지스터 간 거리를 말한다.
숫자가 작을수록 성능은 향상되고 전력 소모는 줄어든다.
2nm 공정은 현재 글로벌 반도체 시장에서 가장 뜨거운 기술 중 하나이며,
AI 칩, 고성능 GPU, 서버용 CPU, 스마트폰 AP 등 고집적, 저전력이 필수인 제품에 사용될 예정이다.
삼성전자는 이미 3nm 공정에서 상용화를 시도했지만,
수율 문제로 인해 TSMC에 시장을 내준 바 있다.
따라서 이번 2nm 공정의 수율 향상은 단순한 기술적 진보가 아니라,
삼성 파운드리 전체의 신뢰 회복과 반격의 시작이라는 점에서 중요하다.
수율 40% 돌파의 의미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2nm 공정은
2025년 초까지만 해도 수율이 20~30%에 불과해
대량 생산은 사실상 어려운 상황이었다.
하지만 최근 웨이퍼 한 장에서 정상 작동하는 칩의 비율이 40% 이상으로 개선된 것으로 전해졌다.
이 수율은 아직 이상적인 수준은 아니지만,
기술적 안정화의 초입 단계에 진입했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특히 과거 3nm 공정에서 수율 문제로 주요 고객사 확보에 실패했던 삼성전자가
이번 개선을 통해 재신뢰를 쌓을 수 있는 전환점을 마련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여전히 앞서 있는 TSMC… 격차 좁힐 수 있을까?
물론, 아직 TSMC와의 격차는 분명하다.
TSMC는 2nm 공정을 이미 상용화 단계에 근접하게 올려놓았으며,
현재 수율도 약 80% 수준으로 알려져 있다.
대량 생산 체계와 수익성, 고객 신뢰도 모두 삼성보다 안정적인 상황이다.
하지만 중요한 점은,
TSMC의 생산 능력이 포화에 가까워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 애플, AMD, 엔비디아(NVIDIA) 등 주요 고객사들이
삼성전자에 눈길을 돌리고 있다.
기술 격차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삼성에 대한 **듀얼 소싱(dual sourcing)**을 고려하고 있다는 것은
TSMC 중심의 공급망 구조가 점차 흔들리고 있다는 방증이기도 하다.
게다가 삼성은 공격적인 가격 전략으로
TSMC 대비 비용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는 평가도 받는다.
수율만 일정 수준을 넘는다면,
고객사 유치 경쟁에서 반전을 만들어낼 수 있는 가능성은 분명 존재한다.
삼성의 다음 목표: 1.4nm, 그리고 공정 신뢰 확보
삼성전자는 2027년까지 1.4nm 공정 도입을 공식적으로 목표로 삼고 있다.
이는 단순한 기술 도전이 아니라,
파운드리 시장에서의 위상 회복과 장기적인 고객사 확보를 위한 전략의 일환이다.
하지만 그 전에 해결해야 할 과제가 명확하다.
현재 수율이 40%에 도달했더라도,
70~80% 수준으로의 추가 개선 없이는 대형 고객사 대량 수주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또한, 공정 안정성과 품질 신뢰도, 고객 대응 속도 등
파운드리 운영 전반의 경쟁력을 함께 끌어올려야 한다.
삼성의 2nm 수율 40%, 시작일 뿐이다
이번 2nm 공정 수율 40% 돌파는
삼성전자가 그간의 기술적 난관을 극복하고
다시 한 번 시장 중심으로 돌아올 수 있는 중요한 신호다.
기술적 성과에 더해, 고객 확보와 실질적인 매출 성과로 이어질 수 있을지가 관건이다.
향후 몇 달 안에 삼성전자가
수율을 얼마나 끌어올리고,
어떤 고객사와 실제 계약을 체결하는지가
TSMC와의 격차를 줄일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핵심 포인트가 될 것이다.
이제부터가 진짜 싸움이다.
삼성전자의 다음 행보가 주목된다.
'AI & Tech > AI 뉴스 & 트렌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이 왜 갑자기 잡포스팅을 열었을까?”…D램 1위 빼앗기고 긴급 전환 배치 돌입한 이유 (0) | 2025.04.17 |
---|---|
“삼성 이겼다!”…SK하이닉스, D램 세계 1위 탈환의 진짜 의미 (1) | 2025.04.15 |
“Bing vs ChatGPT” AI 이미지 생성 비교! 핫한 캐릭터 예제로 써보니 이렇게 다르다?!, '폭싹 속았수다'... (1) | 2025.04.11 |
“이게 무료라고? Bing으로 만든 지브리풍 이미지 퀄리티 실화냐” <Bing Image Creator> 10초면 끝! 요즘 다 이거 쓴다! (0) | 2025.04.08 |
"지브리풍 해녀 애순이 엄마가 영상 속에서 움직인다! Kling으로 만든 감성 폭발 애니 영상~ (0) | 2025.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