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AI 시장이 정말 뜨겁죠?
챗GPT부터 미드저니, 그리고 최근 떠오르는 딥시크까지 하루가 다르게 AI 모델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습니다.
그런데 여기, 중국의 딥시크(DeepSeek)를 뛰어넘겠다고 선언한 회사가 등장했습니다.
바로 "투플랫폼(Two Platforms)"입니다.
투플랫폼, ‘수트라-R0’로 AI 시장 정조준!
투플랫폼은 삼성전자 최연소 임원 출신 프라나브 미스트리가 창업한 AI 스타트업입니다. 설립된 지 불과 3년 만에 빠르게 성장하며 AI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는데요. 이번에 발표한 ‘수트라-R0’는 단순한 생성형 AI가 아니라, 추론형 AI라는 점이 가장 큰 특징입니다.
추론형 AI란 쉽게 말해, 단순한 문장을 만들어내는 것이 아니라 복잡한 문제를 분석하고 해결하는 능력을 갖춘 모델입니다. 금융 리스크 평가, 의료 데이터 해석, 고객 서비스 자동화 같은 전문적인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것이죠.
수트라-R0, 무엇이 특별할까?
이번 AI 모델이 특히 주목받는 이유는 크게 3가지입니다.
1. 다국어 지원에 특화된 AI
수트라-R0는 50개 이상의 언어를 지원하는데요. 영어, 한국어, 중국어는 물론, 힌디어·구자라트어 같은 인도의 다양한 언어에서도 높은 성능을 보인다고 합니다. 사실 지금까지의 AI 모델들은 영어권에 최적화된 경우가 많았어요. 하지만 수트라-R0는 글로벌 기업들이 여러 언어로 AI를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투플랫폼 대표 프라나브 미스트리는 인도 출신으로, AI 개발뿐만 아니라 언어적, 문화적 이해까지 반영해 모델을 만들었다고 밝혔습니다. “AI가 글로벌하게 사용되려면 영어에만 강한 모델로는 부족하다”는 것이죠.
2. 비용 대비 성능 극대화
AI 모델을 돌리려면 GPU 성능이 엄청 중요한데, 수트라-R0는 낮은 사양의 GPU에서도 구동 가능하다고 합니다. 이는 기업 입장에서 큰 장점이 될 수밖에 없어요. 기존의 AI 모델들은 강력한 하드웨어가 필요해 비용 부담이 컸지만, 수트라-R0는 토큰 처리 비용을 줄이고 최적화된 성능을 제공하기 때문에 비용 대비 효율이 훨씬 높아졌습니다.
특히 AI 전환을 고민하는 기업들에게 운영 부담을 최소화하면서도 뛰어난 성능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강력한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고 평가됩니다.
3. 딥시크·오픈AI 모델보다 우수한 성능
수트라-R0는 벤치마크 테스트에서 중국의 딥시크(DeepSeek), 오픈AI 모델, 그리고 메타의 라마(Llama)보다 더 뛰어난 성능을 기록했습니다. 특히 한국어 테스트에서 딥시크 ‘R1’과 라마 3.3 70B 모델보다 더 정확한 결과를 보여줬다고 하네요.
즉, 단순히 “우리도 AI 만들었어요!”가 아니라, 실제 성능으로 입증되었다는 점이 중요합니다.
AI 시장에서의 승부수, 투플랫폼의 미래는?
현재 투플랫폼은 한국, 미국, 인도를 중심으로 AI 사업을 확장하고 있으며, 인도의 최대 통신사 "지오 플랫폼(Jio Platforms)"과 네이버 스노우(Snow) 등으로부터 투자를 유치했습니다. 지난해 100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고, 올해는 280억 원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하니 성장 속도가 엄청나죠?
또한, 향후 AI 모델을 더욱 고도화하여 산업 트렌드 예측, 이상 탐지, 선제적 의사 결정 지원이 가능한 ‘수트라-P0’도 개발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투플랫폼 vs 딥시크, 누가 승자가 될까?
현재 AI 시장에서 중국의 딥시크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지만, 투플랫폼이 내놓은 수트라-R0가 이를 뛰어넘을 수 있을지는 앞으로의 시장 반응에 달려 있습니다.
확실한 것은, AI 시장에서 단순한 언어 모델을 넘어선 "추론형 AI" 경쟁이 본격화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AI가 단순한 대화형 봇을 넘어 실제 기업 비즈니스 의사결정과 데이터 분석까지 도와주는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는 것이죠.
여러분은 수트라-R0가 AI 시장의 게임 체인저가 될 것이라고 보시나요?
'AI & Tech > AI 뉴스 & 트렌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튜브 쇼츠 조회수 터지는 제목 & 썸네일 전략! (0) | 2025.02.17 |
---|---|
"트럼프의 한 수? TSMC, 인텔 공장 접수설... 반도체 왕좌의 게임 시작!" (0) | 2025.02.15 |
딥시크, 개발을 이끈 中 ‘천재 소녀’… 샤오미 ‘연봉 20억’ 러브콜, 과연 수락할까? (1) | 2025.02.03 |
"딥시크 폭탄" 터졌다… 양자컴퓨팅 업계, 초긴장 상태! (5) | 2025.01.31 |
딥시크 쇼크: 국내 반도체 업계, 뒤통수 맞았나, 기회 잡았나? (4) | 2025.0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