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I & Tech/AI 뉴스 & 트렌드

한국·대만 반도체 끝장? 미국 5년 뒤 생산 2위, 중국은 세계 1위?

by EchoLogic 2025. 3. 7.

미국, 5년 뒤 반도체 생산 2위 전망!

미국이 TSMC(대만 최대 반도체 기업)의 1000억 달러(약 144조 원) 추가 투자를 이끌어내며, 5년 내 반도체 생산 점유율 2위에 오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현재 미국의 최첨단 반도체 시장 점유율은 11%(3위)지만, 5년 후에는 20% 이상으로 치솟아 한국을 뛰어넘을 전망입니다.

미국의 반도체 점유율 변화

  • 2021년: 11% (3위)
  • 2030년 예상: 22% (2위)

한국·대만의 점유율 하락

  • 대만: 71% → 58% (1위 유지하지만 감소)
  • 한국: 12% → 7% (3위 자리 내줄 위기)

미국의 공격적인 반도체 투자

미국은 2022년 '반도체법(CHIPS Act)'을 통해 527억 달러(약 76조 원) 규모의 보조금을 지원하며 반도체 자급률을 높이고 있습니다.

  TSMC의 미국 공장 투자

  • 650억 달러(약 94조 원)로 애리조나 공장 3개 건설
  • 1공장: 4나노(nm) 반도체 양산 시작
  • 2·3공장: 당초 2027·2030년 가동 → 2026~2028년으로 일정 단축

   👉 미국이 반도체 제조까지 장악하려는 전략이 점점 현실화되고 있습니다.

중국, 세계 1위 반도체 생산국 되나?

미국뿐만 아니라 중국도 반도체 생산력을 폭발적으로 늘리고 있습니다.

현재 14나노 이상의 성숙 공정(범용 반도체) 생산량에서 대만(43%)이 1위, 중국(34%)이 2위를 차지하고 있지만, 2027년에는 중국(45%)이 대만(37%)을 제치고 1위에 오를 전망입니다.

 중국의 반도체 굴기

2023년 범용 반도체 점유율

  •    대만 43% > 중국 34%

2027년 예상 점유율

  •    중국 45% > 대만 37% (대만 1위 자리 뺏김)

 중국, 첨단 반도체 R&D 세계 1위

반도체 연구개발 실적에서도 중국이 압도적인 1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 반도체 논문 발표량 (2018~2023년)
   1) 중국: 16만 852편
   2) 미국: 7만 1688편
   3) 인도: 3만 9709편
   4) 일본: 3만 401편
   5) 한국: 2만 8345편

🔹 논문 인용 횟수 (상위 10%)
   1) 중국: 2만 3520편
   2) 미국: 1만 300편
   3) 한국: 3920편
   4) 독일: 2716편

 👉 중국은 반도체 연구 개발에서도 압도적 우위를 점하고 있으며, 차세대 반도체 시장에서 강력한 경쟁력을 갖출 가능성이 큽니다.

한국 반도체, 생존 전략은?

현재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메모리 반도체 강자로 군림하고 있지만, 시스템 반도체 및 파운드리(위탁생산) 분야에서는 경쟁력이 낮아 위기를 맞고 있습니다.

한국 반도체의 위기

 ☞   메모리 반도체 외의 분야에서 점유율 낮음 ☞   미국과 중국의 거대한 투자에 밀릴 위험
☞   첨단 반도체 제조기술 경쟁력 강화 필요

한국의 대응 전략

시스템 반도체 및 파운드리 투자 확대
첨단 공정(3나노 이하) 기술력 강화
AI 반도체 등 신시장 개척
반도체 공급망 다변화

반도체 패권 경쟁, 결론은?

  미국: "2030년 반도체 생산량 20% 이상" 목표 + TSMC·삼성 투자 유치
  중국: 성숙 공정 1위 + 첨단 반도체 투자 가속
  대만: 여전히 파운드리 1위지만, 미국·중국의 위협
  한국: 메모리 강국이지만, 시스템 반도체 경쟁력 약화

미국과 중국이 반도체 제조까지 본격적으로 뛰어들면서, 한국과 대만의 반도체 산업이 위협받고 있습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