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5년 뒤 반도체 생산 2위 전망!
미국이 TSMC(대만 최대 반도체 기업)의 1000억 달러(약 144조 원) 추가 투자를 이끌어내며, 5년 내 반도체 생산 점유율 2위에 오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현재 미국의 최첨단 반도체 시장 점유율은 11%(3위)지만, 5년 후에는 20% 이상으로 치솟아 한국을 뛰어넘을 전망입니다.
▶ 미국의 반도체 점유율 변화
- 2021년: 11% (3위)
- 2030년 예상: 22% (2위)
▶ 한국·대만의 점유율 하락
- 대만: 71% → 58% (1위 유지하지만 감소)
- 한국: 12% → 7% (3위 자리 내줄 위기)
미국의 공격적인 반도체 투자
미국은 2022년 '반도체법(CHIPS Act)'을 통해 527억 달러(약 76조 원) 규모의 보조금을 지원하며 반도체 자급률을 높이고 있습니다.
▶ TSMC의 미국 공장 투자
- 650억 달러(약 94조 원)로 애리조나 공장 3개 건설
- 1공장: 4나노(nm) 반도체 양산 시작
- 2·3공장: 당초 2027·2030년 가동 → 2026~2028년으로 일정 단축
👉 미국이 반도체 제조까지 장악하려는 전략이 점점 현실화되고 있습니다.
중국, 세계 1위 반도체 생산국 되나?
미국뿐만 아니라 중국도 반도체 생산력을 폭발적으로 늘리고 있습니다.
현재 14나노 이상의 성숙 공정(범용 반도체) 생산량에서 대만(43%)이 1위, 중국(34%)이 2위를 차지하고 있지만, 2027년에는 중국(45%)이 대만(37%)을 제치고 1위에 오를 전망입니다.
중국의 반도체 굴기
✔ 2023년 범용 반도체 점유율
- 대만 43% > 중국 34%
✔ 2027년 예상 점유율
- 중국 45% > 대만 37% (대만 1위 자리 뺏김)
중국, 첨단 반도체 R&D 세계 1위
반도체 연구개발 실적에서도 중국이 압도적인 1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 반도체 논문 발표량 (2018~2023년)
1) 중국: 16만 852편
2) 미국: 7만 1688편
3) 인도: 3만 9709편
4) 일본: 3만 401편
5) 한국: 2만 8345편
🔹 논문 인용 횟수 (상위 10%)
1) 중국: 2만 3520편
2) 미국: 1만 300편
3) 한국: 3920편
4) 독일: 2716편
👉 중국은 반도체 연구 개발에서도 압도적 우위를 점하고 있으며, 차세대 반도체 시장에서 강력한 경쟁력을 갖출 가능성이 큽니다.
한국 반도체, 생존 전략은?
현재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메모리 반도체 강자로 군림하고 있지만, 시스템 반도체 및 파운드리(위탁생산) 분야에서는 경쟁력이 낮아 위기를 맞고 있습니다.
▶ 한국 반도체의 위기
☞ 메모리 반도체 외의 분야에서 점유율 낮음 ☞ 미국과 중국의 거대한 투자에 밀릴 위험
☞ 첨단 반도체 제조기술 경쟁력 강화 필요
▶ 한국의 대응 전략
✔ 시스템 반도체 및 파운드리 투자 확대
✔ 첨단 공정(3나노 이하) 기술력 강화
✔ AI 반도체 등 신시장 개척
✔ 반도체 공급망 다변화
반도체 패권 경쟁, 결론은?
미국: "2030년 반도체 생산량 20% 이상" 목표 + TSMC·삼성 투자 유치
중국: 성숙 공정 1위 + 첨단 반도체 투자 가속
대만: 여전히 파운드리 1위지만, 미국·중국의 위협
한국: 메모리 강국이지만, 시스템 반도체 경쟁력 약화
미국과 중국이 반도체 제조까지 본격적으로 뛰어들면서, 한국과 대만의 반도체 산업이 위협받고 있습니다.
'AI & Tech > AI 뉴스 & 트렌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MS·오픈AI 결별 수순? ‘AI 헤게모니’ 전쟁 본격화! (0) | 2025.03.09 |
---|---|
"반도체 패권 전쟁" 미국이 부활한다? 삼성·TSMC의 대규모 투자로 판도 변화! (0) | 2025.03.08 |
중국, 엔비디아 박살낼까? AI 기술 독립 선언과 반도체 패권 경쟁! (1) | 2025.03.07 |
"알리바바, 딥시크 잡으러 왔다!"—초가성비 AI ‘QwQ-32B’로 주가 폭등! (0) | 2025.03.07 |
"반도체법 폐지? 삼성·SK 7조 원 날린다! 트럼프의 폭탄 선언, 한국 반도체 운명은?" (0) | 2025.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