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반도체는 이제 끝난 거 아니야?"라고 생각했다면, 다시 봐야 할지도 모른다.
최근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 보도에 따르면,
삼성전자와 대만 TSMC의 대규모 투자 덕분에
2030년이면 미국의 첨단 반도체 생산 비중이 20%를 넘길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한때 반도체 생산 강국이었던 미국이 이제 다시 힘을 얻고 있다.
단순한 숫자가 아니라, 반도체 패권을 두고 벌어지는 글로벌 전략 전쟁에서 미국이 반격을 시작한 것이라 볼 수 있다.
미국, 반도체 부활의 신호탄! 784조 원 투자 규모
"아니, 미국 반도체 생산 비율이 그렇게 낮았어?"
놀랍겠지만 사실이다. 미국은 1990년대만 해도 전 세계 반도체 생산의 37%를 차지했지만, 2022년에는 '고작 10%'까지 떨어졌다. 거의 사라질 뻔했던 반도체 생산 강국의 명성을 되찾기 위해, 미국은 초강수를 두었다.
미국반도체산업협회(SIA) 자료에 따르면, '2020년 이후 미국의 반도체 민간 투자 규모는 무려 80조 엔(한화 약 784조 원)'에 달한다.
"이 정도면 거의 나라 하나를 새로 짓는 수준인데?"
특히, 대만의 시장 조사 업체 "트렌드포스(TrendForce)"는 2030년 미국의 글로벌 첨단 로직 반도체 생산 비중이 22%까지 증가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2021년과 비교하면 무려 두 배 성장하는 셈이다.
미국, 반도체 생산 자급률 높인다!
미국은 반도체 산업에서 강력한 영향력을 가진 국가지만, 그동안 설계는 엔비디아, 인텔 같은 미국 기업이 독점했어도 생산은 대만 TSMC와 한국 삼성전자에 의존해왔다.
이게 왜 문제일까?
반도체는 국가 안보와 직결되는 산업이라, 미국 입장에서는 대만과 한국에 모든 걸 맡기는 게 불안할 수밖에 없었다.
(실제로 미국이 최근 반도체 공급망을 자국 내로 옮기려는 이유도 바로 이것!)
그래서 TSMC가 미국 애리조나에 1000억 달러(한화 약 145조 9000억 원)를 투자해 3개의 첨단 로직 반도체 공장을 건설할 계획이다.
"미국도 이제 직접 만들겠다는 거지!"
반도체 전쟁, 글로벌 패권 다툼의 핵심
사실 반도체는 단순한 전자 부품이 아니다. AI, 스마트폰, 전기차, 데이터센터 등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에 필수적인 요소다.
그러다 보니 각국 정부는 반도체를 전략 자산으로 삼고, 글로벌 패권 다툼에서도 중요한 무기로 활용하려 하고 있다.
각국의 반도체 전략
- 미국: 반도체 제조 역량 강화 + 자국 내 투자 유치
- 중국: '반도체 굴기'를 내세워 자체 생산 비율 확대
- 유럽: 자체적인 반도체 공급망 확보 시도
- 한국 & 대만: 여전히 글로벌 생산 최강자로 기술력 우위 유지
각국이 반도체 산업을 두고 벌이는 경쟁이 점점 더 치열해지는 가운데, 미국이 다시금 반도체 생산 강국으로 부활할 수 있을까?
반도체 판도 변화, 누가 최후의 승자가 될 것인가?
미국의 공격적인 투자와 전략적 움직임이 반도체 산업의 판도를 바꿀 가능성이 높아졌다.
삼성전자와 TSMC가 미국에서 생산 기지를 확대하면서, 미국은 반도체 생산을 다시 자국 내로 끌어들이려는 계획을 착실히 실행 중이다.
하지만 문제는, 이게 단순히 돈을 투자한다고 해결될 일이 아니라는 것.
반도체는 기술력 싸움이기 때문에, 한국과 대만이 계속 기술 우위를 유지한다면, 미국이 생산을 늘려도 시장을 완전히 장악하기는 어렵다.
'AI & Tech > AI 뉴스 & 트렌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론 머스크의 AI 도전장! 그록(Grok)3와 딥서치, 정말 대단한 걸까? (2) | 2025.03.09 |
---|---|
MS·오픈AI 결별 수순? ‘AI 헤게모니’ 전쟁 본격화! (0) | 2025.03.09 |
한국·대만 반도체 끝장? 미국 5년 뒤 생산 2위, 중국은 세계 1위? (0) | 2025.03.07 |
중국, 엔비디아 박살낼까? AI 기술 독립 선언과 반도체 패권 경쟁! (1) | 2025.03.07 |
"알리바바, 딥시크 잡으러 왔다!"—초가성비 AI ‘QwQ-32B’로 주가 폭등! (0) | 2025.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