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I & Tech/AI 뉴스 & 트렌드

“낸드가 불탄다” 미국발 관세 폭탄, 삼성·하이닉스 누구의 목을 겨눌까?

by EchoLogic 2025. 4. 20.

미국이 칼을 뽑았습니다.
이번엔 중국산 반도체에 대한 ‘25% 관세’가 현실이 될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타깃은 명확합니다. 중국에서 생산된 메모리 반도체.
그런데 문제는... 한국 기업들이 여기에 직접 걸려 있다는 점입니다.

특히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이 두 기업은 메모리 시장 세계 1, 2위이지만,
생산 기지의 위치가 이번 관세 이슈의 ‘운명을 갈라놓는 요소’가 되고 있습니다.

🇺🇸 미국의 관세 폭탄, 왜 지금?

미국은 최근 중국과의 반도체 기술 격차를 유지하기 위한 전략으로
단순한 ‘기술 제한’을 넘어, 완성품에 직접 관세를 부과하는 수순으로 나아가고 있습니다.

  • 중국 내에서 제조된 반도체 제품을 미국에 수출할 경우 25% 관세 부과 예정
  • 이미 전기차 배터리, 철강, 통신장비 등에도 고관세 적용 중
  • 다음 주 발표 예상… 반도체가 새로운 타깃

즉, 미국은 단지 중국 기업만이 아니라
중국에 생산시설을 둔 외국 기업까지 통제하겠다는 뜻을 드러낸 셈입니다.

삼성전자, 시안 공장이 문제다

삼성전자는 현재 낸드플래시 메모리의 약 40%를 중국 시안 공장에서 생산하고 있습니다.
이 제품들 중 상당수가 미국 시장으로 수출되기 때문에,
이번 관세가 부과될 경우 직접적인 가격 충격이 불가피합니다.

낸드는 SSD, 메모리카드, USB, 스마트폰 저장장치 등
소비자 기기 전반에 사용되는 핵심 부품입니다.

💬 낸드 가격, 최대 15달러까지 상승 전망
→ SSD, 스마트폰, 태블릿 등 최종 기기 가격 인상 가능성도 커짐

결국 관세 폭탄은 소비자 물가까지 흔들 수 있는 파장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경고도 나오고 있습니다.

그런데 D램은 왜 괜찮을까?

같은 메모리라도 삼성전자의 D램은 이번 관세 이슈에서 비교적 안전지대에 있습니다.
그 이유는 간단합니다. 삼성의 모든 D램 생산은 한국에서 이뤄지기 때문입니다.

  • 낸드: 시안(중국) + 평택(한국) → 중국 비중 高
  • D램: 전량 한국 생산 → 관세 무풍
생산 공장 낸드 플래시 생산 비율 (%) D램 생산 비율 (%)
중국 (시안) 37% 0%
한국 (평택) 63% 100%

즉, 이번 조치가 낸드엔 치명적이지만, D램에는 거의 영향이 없는 셈입니다.

하이닉스는... 상황이 다르다

문제는 SK하이닉스입니다.
하이닉스의 D램 상당량은 중국 우시 공장에서 생산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 하이닉스 D램: 약 절반 가까이를 중국 생산
  • 낸드 비중은 상대적으로 적지만, D램 타격이 더 큼

SK하이닉스 생산 비율 비교 (중국 vs. 한국)

생산 공장 낸드 플래시 생산 비율 (%) D램 생산 비율 (%)
중국 (우시, 다롄) 약 20% 약 45%
한국 (이천, 청주) 약 80% 약 55%

즉, 삼성은 낸드가 위험하고 D램은 괜찮은 반면,
하이닉스는 그 반대의 리스크 구조를 안고 있습니다.

게다가 하이닉스는 최근 HBM 메모리 수요에 집중하며 D램 생산을 계속 늘려온 상황이기 때문에
생산·출하 타이밍이 겹치면 관세 타격은 더 클 수 있습니다.

메모리 가격은 오를까?

시장에서는 이번 관세 여파로 인해 D램과 낸드 가격이 최대 8%가량 상승할 수 있다고 예측합니다.
하지만 이 가격 인상이 최종 소비자 가격에 얼마나 반영될지는 아직 불확실합니다.

  • SSD, 노트북, 스마트폰 등 기기 제조사들이 일부 부담을 흡수할 가능성도 있음
  • 하지만 시장 전반의 인플레이션 분위기와 맞물릴 경우,
    소비자 가격 전가 가능성도 무시할 수 없음

정리하자면

  • 미국의 반도체 관세 폭탄, 타깃은 중국산 메모리 반도체
  • 삼성전자: 낸드 부문에 직격탄 (중국 시안 생산 비중 큼)
  • SK하이닉스: D램 부문이 타격 (우시 생산 비중 큼)
  • 관세 영향 → 메모리 가격 인상소비자 가격 반영 가능성

결국 관세 전쟁은 단순한 세금 문제가 아닙니다.
전 세계 반도체 공급망의 구조를 흔드는 정책적 도구이자,
삼성·하이닉스가 그 최전선에 서 있다는 것이 지금의 현실입니다.

728x90